유학준비 시작하기 2편이다. 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파악해서 보완해야 할 점이나, 혹은 강화시킬 점을 알아야 한다.
2. 객관적인 나의 상황은 어떤지.
이것은 흔히 말하는 스펙으로 본인을 객관화시켜서 냉정하게 판단하기 위함이다.
미국 대학원 유학의 합격과 불합격을 가르는 것은 어떤 단일화된 요소가 아니다.
미국 대학원 입시는 학점, 연구경력, 연구 외 경력, 논문 실적, GRE/TOEFL 점수, 자기소개서, 학문외적 활동, 수상경력 등 수많은 요소들이 어우러져서 종합적으로 평가받는다. 이는 바꿔 말하자면, 어떤 한 부분이라도 부족하면 치명적이다. 부족하다면 그걸 만회하고도 남아 입학관에게 아주 강렬한 인상을 줄 수 있는 다른 요소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모든 것이 상중 정도여야 된다. 이래야 최소한 지원할 자격은 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자격이 되는거지 합격은 한참 멀었다. 평균가지고는 사실 합격 못 받는다.
학점은 4.5 만점이면 학점을 최소한 4.0을 넘겨라.
GRE는 공대 기준으로 Verbal 최소 150 (155~158이 안정), Writing 3.5 이상, Quant 170 (만점) 혹은 168 정도. 는 맞춰야 한다.
토플은 각 학교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 못 넘으면 그냥 서류에서 걸러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간혹 토플 못 넘기고도 어드미션 받았다는 친구들 있는데 아주 극히 예외의 경우에 해당하니 쓸데없는 희망 갖지 말고 곱게 토플 공부 빡세게 해서 넘기자.
천우신조로 만에 하나 어드미션 받아도 TA 점수안되서 못하고 생활비 못 버는 경우도 있다. 학교 홈페이지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과 '학과'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 다르고, 각 항목별 최소점수도 있다. 학과 홈페이지에 정보가 안 나와있다고 해서 커트라인이나 이런 게 없는 게 전혀 아니다. 내부적으로 전부 다 규정이 존재하므로, 직접 문의해서 반드시 알아보길 권한다.
그리고 연구경력이 필요하다. 학부 마치고 바로 갈 거라면, 학부연구생을 하던 뭘 하던 어떻게든 연구경력을 만들자. 정 못 찾겠으면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실마다 다짜고짜 연락 다 돌려서, 가서 무급 인턴이라도 해서 뭐라도 하던지 (사실 '무급' 운운해야 하는 내가 참 서글프다마는, 미국에도 있긴 있더라 저런거). 어떻게든 공식적으로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걸 해내야 한다. 논문에 공저자로 이름을 올리던지, 학회발표지에 이름을 올리던지, 최대한 열심히 / 잘 해서 무기를 하나라도 더 들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석사를 국내에서 하고 갈 거라면 반드시 논문을 1저자로 쓰도록 하자. 공저자도 몇 편 들고 있어야 한다. 논문은 많을수록 좋다.
나에게 추천서를 써줄 수 있는 사람을 생각하자. 교수님 세 분 정도가 보통이다. 아주 강력한 추천서를 써주실 수 있으면 좋다. 물론 강력하면서도 솔직해야한다. 나의 약점에 대해서도 솔직하게 써 주시되, 그를 보완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을 언급해주시는 등, 나에 대해서 아주 인간적이면서도 긍정적이고 강력한 평가를 해주실 수 있는 분이면 좋다.
이러면 일단 기본 준비가 되었다고 보면 된다.
솔직하게,
토플 110 넘기고
GRE V155 / W3.5 / Q168 이상
학점 4.0 이상 (4.0 만점 스케일로 환산시 3.7~3.8 이상)
좋은 추천서
논문 1저자 한편 이상 (석사 한 경우)
학회발표나 논문 공저자 + 연구경력 (학부에서 바로 가는 경우)
이정도 맞춰놔야 싸워볼만 하다.
안 되면, 다른 특출난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
왜 그런가? 이유를 묻는다면 당신은 전세계의 우수한 인재들과 입학 경쟁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글로만 써 놓으면 안 와닿을테니, 현실을 알려주자면.
현재 내가 다니고 있는 University of Washington Bioengineering의 경우는, 우리 과 대학원생들을 보면 학부 출신이.....
MIT
Stanford
UC Berkeley
Cornell Univ
UCSB / UCSD
Johns Hopkins Univ
등등이다. 딱 봐도 뛰어난 학교들이다. 설상가상으로 쟤내는 대부분이 학부 마치고 바로 박사 온 케이스인데도 논문 서너편씩 들고있다. 버클리 출신 누군가는 네이쳐, 네이쳐 바이오텍, 네이쳐컴에 공저자로 학부출신인데도 논문 네 편이 있다.
이 부분도 추후에 따로 다루겠다. 학점 안 좋다고? 논문 많이 쓰자. 좋은 걸로, 1 저자로. 그것도 안 되면 운에 맡기던지 아니면 기가 막힌 에세이를 써 보던지.
그렇게 객관화해서, 될 만한 가능성이 있는지를 잘 생각해보자.
'유학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학준비 9. 영어/어학 문제. TOEFL편 -(3/4)- (3) | 2018.05.20 |
---|---|
유학준비 8. 영어/어학 문제. GRE와 TOEFL -(2/4)- (2) | 2018.05.04 |
유학준비 7. 영어/어학 문제. GRE와 TOEFL - (1/4) - (0) | 2018.05.02 |
유학준비 6. 추천서 부탁드리기 (0) | 2018.04.30 |
유학준비 5. 타임라인 짜기 (0) | 2017.12.22 |
유학준비 4. 학부생 때 준비할 수 있는 것들 (5) | 2017.12.20 |
유학준비 시작하기 - 3. 나의 성향은? (5) | 2017.12.17 |
유학준비 시작하기 - 1. 왜 가려는가? (0) | 2017.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