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OP 두번째 이야기다.

 

번째 글에서 과연 얼마만큼의 문제점을 발견했는지 나는 모른다. 다만, 최소한 SOP 대해 여러분이 가졌던 생각을 번쯤은 돌아봤길 바란다.

 

5월달이 되어 올리젝이 확정되고 나서 내가 가장 먼저 일은, 현실을 받아들이는 일이었다. 이럴리가 없다거나, 세상이나 그런 등등의 남탓을 하기엔 나에게 남은 시간이 얼마 없었기 때문에다음 지원은 이미 다가오고 있었고, 내가 모든 것을 향상시키고 뜯어고칠 시간은 고작 반년 남짓이었다. 논문이나 연구실적 등은 연구소를 다니면서 꾸준히 하고 있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았다. CV 새로운 이벤트가 있을 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했다.

 

그러나 문제는 SOP PS였다.

 

번째 지원을 준비하면서, 나는 가지 실행하기로 했다

 

번째는 에세이를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피어리뷰를 받는 것이었고

 

번째는 리뉴얼된 SOP 검증할 공식적인 수단을 찾는 것이었다.

 

일단은 동기들, 친구들 (both academic and non-academic), 알고 지내던 교수님들 박사님들께 SOP 검토를 부탁드렸다. 다양한 코멘트가 나왔지만, 줄기에서 보면 결론적으로는 비슷한 의견들이었다.

 

대학원 동기들은

 

1. 너무 내용이 진부하다. 전반에 걸쳐 뭔가 나의 문제점을 해결해나가려고 글이라는 것은 알겠으나, ‘집착‘한다는 느낌이 있다. 이게 만약 한국에 내는 자소서였다면 괜찮은 글이 있겠으나, 미국 스탠다드에서 봤을 때에는 이게 좋은 글이라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2. 부정적인 느낌이 든다. 중요한 내가 어떤 문제점을 안고 있는 사람이다가 아닌, 이런 문제를 해결해내서 나은 사람이 되었다에 초점이 맞춰지면 좋을 같다. 글은 문제점 자체를 묘사하고 풀어나가는 데에 너무 집중되어 있어 어두운 느낌이 든다.

 

연구소 박사님들은

 

1. 뭔지 뭐라 찝어 설명하기 어려운데, 절대로 좋은 글은 아닌 같다. 네가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알겠고, 말하고자 하는 바도 무엇인지 파악은 되는데, 이런 식으로 서술하면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할 같다.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방식이나 과정이 의미가 있고, 그를 통해서 네가 비전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분명히 드러나고, 그게 전달력이 없는 아닌데, 전반적으로 글을 읽었을 뽑고 싶다‘는 느낌이 들지는 않는다. 오히려 부정적인 느낌이 너무 난다.

 

지도교수님 교수님들은

 

1. 일단 어휘적으로 부족한 느낌의 SOP이다. 미려하거나 화려한 까지는 아니더라도, 담백하면서 깔끔한 전달력의 글을 쓰는 좋은데, 어휘가 너무 기초적인 것들만 사용이 되어서 그런 느낌을 주기가 어려운 같다.

 

2. 개연성이 약간은 부족하다는 느낌도 들고

 

3. 너의 문제점을 이렇게 내보이는 것은 좋은데,, 문제점이 약점이 아닌, 이걸 통해서 어떻게 강점이 되었는지를 서술하면 좋겠다. 단순히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서 어떤 결론을 얻었다는 데에서 그치고 있는 같다. 거기서 끝나면 된다. 거기서 얻은 교훈으로 어떤 advance 이루고, 혹은 이루고 싶은지에 대한 long-term insight 들어가야 한다.

 

였다.

 

충격적이었다. 나는 나름 글의 짜임새와 묘사, 서술에 대해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는데, 돌아온 비판이 너무도 신랄했다. 그러나 편으로는 다행이었다. 글의 문제점이 이렇게 많았는데, 이걸 지적해줄 사람들이 있어서.

 

그들에게 정말로 감사한다.

 

그래서 6 풀브라이트 지원을 앞두고, 대대적인 SOP 다시쓰기에 들어갔다. 이번에는 구조 주제를 아예 싸그리 갈아엎기로 마음먹었다. 또한, 진부하되 진부하지 않은‘ 글을 쓰기로 마음먹었다.

 

- 내가 지녔던 문제점‘에 대한 서술 위주로 시작했던 부분을 삭제하고

 

- 내가 지녔던 비전과 목표, 그리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 그 과정에서 해야 것들은 무엇이고, 어떤 식으로 구체화를 시켜왔는가 

 

등을 위주로 진취적이고 밝은 느낌의 글로 바꾸었다. 바로 앞에서 말한 진부하되 진부하지 않은’ 글을 쓰기로 했다는 점은 미묘하게 들릴 있는데, 뜻은 아래와 같다.

 

 

본인이 연구 경력이 있는 경우에는, 연구 경력과 내용에 대해서 서술하게 마련이다더불어 연구를 하면서 느꼈던 , 창의성을 발휘할 있었던 타이밍 등에 대해 구체적이고 세련되게 글을 쓰면 좋다

 

여기서 진부한 부분은 보통 남들이 연구 내용 쓴다는 것이고, 진부하지 않다는 점은, 내가 지닌 특수성과 특이성에 대해 연구 내용과 섞어서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인상을 주도록 썼다는 것이다.

 

 

 

공학자냐 과학자냐의 논의와 내가 지녔던 문제에 대한 서술로 시작했던 나의 SOP 완전히 바뀌어서, 과학기술인이 되기를 꿈꿔온 내가 지녔던 비전과 이상으로 시작했고

 

과정에서 지녔던 궁금증과 그를 해결해가는 방법

 

실제로 석사  학교에서 연구를 진행하면서 겪었던 일들과 그에 대한 스스로의 해석

 

졸업 연구소에서 연구를 하면서 얻게 새로운 시각과, 그에 따른 나의 연구관/가치관 재정립 및 새로운 비전에 대해.

 

 

그리고 이들을 토대로 내린 나의 결론으로 SOP 마무리지었다.

 

 

풀브라이트 장학금 대해서는 차후 ‘지원 장학금’ 대한 글을 따로 쓰겠지만, 미국 대학원 원서접수와 형식과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더불어 미국인 교수님들이 심사하기 때문에, 나름의 새로운 SOP 자신을 시험해보기에 아주 좋은 기회였다. 번째 지원 당시에는 내가 경황이 없어서 ( 핑계고 게을러서 한건데, 나는 이걸 나중에 정말 후회했다) 했는데, 번째 지원을 준비하면서는 반드시 도전해봐야겠다 생각했다. 그래서 새로운 SOP 들고 풀브라이트에 지원했으며, 보란듯이 면접까지 있었다.

 

 

최소한, 전의 형편없는 SOP에서는 벗어난 셈이어서, 일차적으로는 만족했던 기억이 있다

 

마지막 3편에서는 이후 어드미션을 받기까지 일어난 일들과, 그에 따른 SOP의 소소한 변화들, 그리고 그 중에 겪은 에피소드 등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하겠다. 

+ Recent posts (mouse over!)